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

뇌졸중 초기증상 F.A.S.T.로 기억하세요 생명을 구하는 황금시간

by 꿀정보머신 2025. 3. 12.
728x90
반응형
SMALL
뇌졸중은 한국인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.
2025년 현재까지도 발병 후 3시간 내 응급처치가 생존률을 50% 이상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만큼, 초기 증상 인지와 신속한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뇌졸중의 핵심 증상부터 실전 대처법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.

 

 

뇌졸중의 두 가지 유형과 특징

1. 허혈성 뇌졸중(뇌경색)
전체 뇌졸중의 85% 차지
혈관 내 혈전(피떡)으로 인한 혈류 차단
동맥경화 진행자의 60%에서 발생
증상 진행 속도: 수분~수시간

2. 출혈성 뇌졸중(뇌출혈)
고혈압 환자의 70%에서 발생 위험
혈관 파열 시 30분 내 뇌부종 진행
사망률이 뇌경색 대비 2.3배 높음
갑작스러운 극심한 두통 동반(82% 사례)

 

 

 

반드시 기억해야 할 7대 초기 증상

  1. 얼굴 비대칭(Face Drooping)
    입꼬리 한쪽이 처짐
    미소 지을 때 비정상적 비대칭
    이마 주름 잡기 불가능


  2. 팔 약화(Arm Weakness)
    양팔 동시 들어올리기 불가
    한쪽 팔 저림/무거움
    물건 집을 때 3초 이상 걸림


  3. 언어 장애(Speech Difficulty)
    "빨리 병원에 가자" 단순 문장 발음 실패
    말이 혀에 걸림(70% 사례)
    타인의 말 이해 불가(실어증)


  4. 시각 이상(Vision Loss)
    갑작스런 시야 1/4 결손
    물체가 두 개로 겹쳐 보임(복시)
    한쪽 눈 실명(24% 사례)


  5. 보행 장애(Walking Problem)
    술 취한 사람처럼 비틀거림
    한쪽 다리 끌기
    계단에서 균형 상실(특히 후두엽 손상 시)


  6. 극심한 두통(Severe Headache)
    "평생 최악"이라고 표현하는 통증
    구토 동반(뇌출혈 시 92%)
    목 뒷부분 뻣뻣함


  7. 의식 변화(Consciousness Change)
    갑작스러운 기억상실
    시간/장소 파악력 상실
    혼수 상태(5% 사례)

 

 

황금시간을 사수하는 F.A.S.T. 대처법

F(ace): "이를 보여주세요" → 입술 한쪽 처짐 확인
A(rm): "양팔 들기" → 한쪽 팔 추락 관찰
S(peech): "간단한 문장 따라 말하기" → 발음 이상 확인
T(ime): 이상 증상 발견 즉시 119 신고(발병 시간 반드시 기록)



▶ 응급실 도착 전 필수 체크사항


증상 시작 시간(정확히 분 단위)
복용 중인 약물 목록
과거 병력(심장질환, 고혈압 등)
최근 두부 외상 여부

 

 

50%가 놓치는 위험 신호: TIA(일과성허혈발작)

24시간 내 증상 소실되는 '미니 뇌졸중'은 48시간 내 본격적 뇌졸중 발생률이 35%입니다.
다음 증상 경험 시 즉시 검진 필요.

10분간 지속되는 시야 장애
15분 이상 계속되는 손저림
30분 내 사라지는 언어 장애
1시간 동안의 보행 불안정

 

 

예방을 위한 3대 생활 수칙

  1. 혈행 관리
    120/80 mmHg 이상 시 위험도 2.8배 증가
    매일 아침/저녁 혈행 측정 기록

  2. 금연/절주
    흡연자 뇌졸중 위험 4.2배
    주 4회 이상 음주 시 출혈성 뇌졸중 위험 3.7배

  3. 식습관 점검
    나트륨 일일 섭취량 2,000mg 이하 유지
    오메가3 함유 식품(등푸른생선) 주 3회 섭취

  4. 수분 섭취(하루 1.5L 이상)
    뇌졸중은 증상 발생 후 1시간 내 치료 시 장애 위험을 78%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. 이상 증상을 발견하면 "괜찮아지겠지" 하는 마음으로 시간을 끌지 말고 즉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
 

 

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, 뇌졸중 환자의 43%가 증상 발생 6시간 이후에야 병원을 방문해 후유증을 겪고 있습니다.
우리의 신속한 행동이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하세요.

 

728x90
반응형
SMALL